View : 9,786
시작년도 ~ 종료년도 | 2020 ~ 2030 | 작성자 | 관리자 | |||||||||||||||
---|---|---|---|---|---|---|---|---|---|---|---|---|---|---|---|---|---|---|
첨부파일 | ||||||||||||||||||
1. 연구팀의 비전과 목표 1.1 2년차 연구의 비전 1년차에서는 4개 팀으로 나누어 팀별로 세부 연구과제를 진행하였다. 1년차 연구 의 기본 성격은 주요 주제에 대해 학술적인 문헌 연구를 하여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 고, 관찰이나 면담, 설문지 등을 통해 실제적인 측면에서의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2년차에서는 이러한 1년차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 미래 과학교사의 전문성 계발과 이러한 계발 노력이 실행으로 연결되기 위한 구체적인 framework와 tool을 개 발하고자 한다. 즉 A팀에서는 미래 사회 교육 환경 예측 모형을 제안하고 적용할 것이며, B팀에 서는 학생들의 미래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과학수업 사례 연구를 수행하고, C팀에서 는 ‘좋은’ 과학지도 실행의 의미를 분석하고, 과학교육 이론과 실제간 격차 해소를 위한 조건과 방안 등을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D팀에서는 대학과 연계한 과학과 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시범적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2년차 연구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1차 연도의 이론적 문헌 연구와 관찰 및 면담 등을 통한 기초 자료 분석에 기초하여 수행될 것이며, 나아가 3차 연도에 4 개 팀의 연구가 통합되어 미래의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과학 교사 의 미래 지향적 전문성 개발 모형(MoSFuR: A Model for developing Science teacher’s Future-oriented professionals through the Resolution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을 개발하는데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1.2 2년차 연구의 그룹별 목표 2차 연도 연구도 1차 연도와 마찬가지로 4개 그룹별로 세부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2차년도의 그룹별 연구목표를 1차 연도와 대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단, 1차 연도 연구가 팀별로 진행되었고, 2차 연도도 팀별로 진행될 것이지만, 2 차 연도에서는 팀별 연계를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A팀의 미래 과학 교육 환경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B팀에서 미래 과학교사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것이며, C팀의 이론과 실제간 협업(collaboration)에 대한 논의를 바탕 으로 D팀에서 대학과 연계한 과학과 학습공동체를 시범적용하게 될 것이다. 물론 각 팀별 연구는 SSK사업의 목적에 연계되도록 운영될 것이다. [1년차 대비 2년차 연구팀별 연구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