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구집단

연구집단소개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서구 ‘사회과학’의 수용 - 진덕규 연세대학교 교수

View : 1,933

상세
시작년도 ~ 종료년도 2010 ~ 2013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

1. 연구목적 및 배경

 

  1-1. 연구목적

 본 공동연구는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 수용에서 생산으로라는 대주제 아래궁극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을(최종 10년 목적) 이루고자 한다.

 

 (1)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에 기초한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구체적인 방안 제시

 (2) 현대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특성 구명

 (3) 상기 목적을 위해 근현대 한국 사회과학수용, 연구자 인물 및 문헌 DB 구축.

 ​ 

 

 

​  1-2. 연구배경

 

 한국의 사회과학은 외세와의 타율적인 조우를 계기로 모색하게 된 자주적인 근대화의 노력과 함께 서구 근대학문을 수용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주적인 근대학문수용을 통한 한국사회의 근대화 모색은 국권상실로 좌절되고 말았다. 그리고 그것은일제에 의한 근대적 교육체계 속에서 타율적으로 사회과학이 제도화되는 가운데, 일제에 대한 저항과 대항의 논리를 구축하면서 면면히 이어지며 변용되고, 체계화되어갔다. 그로 인하여 한국의 사회과학은 한국사회를 연구대상으로 한 내적 요인에 준거하여 체계적으로 발전하기보다는 이른바 외세다시 말해서 저항의 대상으로서의 일본과 그로부터 벗어나는데 도움이 되고 배워야 할 대상으로서의 서구 따라잡기 식의 외생성을 특징으로 하게 되었다. 이는 해방이후에도 냉전과 분단의 국제정치 구조 속에서 오히려 과학적 객관과 보편이라는 명목하에 확대 재생산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한국 사회과학의 외생성을 비판하고 자아준거적인 노력과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자성이 반복되었지만, 구체적인 결과 없이 진행되어 온 거대담론의 악순환에서 벗어났다고는 할 수 없다.

 

 본 공동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첫 단계로 근대적 전환기 서구 근대학문으로서 사회과학을 수용한 인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과학연구의 인물과 문헌 데이타베이스를 실증적, 경험적으로 구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구체적으로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실질적인 방안과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 사회과학 연구 발전에 필요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수집정리해 토대를 구축하는 한편으로, 공동작업으로 DB의 내용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를 밝히고동아시아에서의 사회과학 수용과 계보 및 서구의 그것과의 다층적 비교를 통해서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 및 성격을 구명할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실질적인 방안과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2.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2-1. 전체 연구내용 및 범위

 

 [총괄주제]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지적 계보와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수용에서 생산으로

 

 [전체연구체계]

  제 1단계(소형, 3). 한말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서구 사회과학의 수용

 

  제 2단계(중형, 3). 일제하

식민지시기 사회과학의 체계화와 유산

 

  제 3단계(대형, 4). 해방후 (1945-현재). 한국 근대 사회과학의 성찰과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 및 토대

 

 

  2-2. 단계별 목적 달성을 위한 연차별 연구내용 및 범위

 

  1) 1단계(소형, 3) 연구내용 및 범위


[주제] :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서구 사회과학의 수용

[연구주제구성] :

1차년도. 근대 전환기 한국 사회과학수용의 주체와 문제의식

2차년도. 근대 한국 지식인의 서구 사회과학이해와 지적 계보

3차년도. 전환기 한국 사회의 재인식과 근대 국가전망

 

 (1) 1단계 제1차년도 연구. 근대 전환기 한국 사회과학수용의 주체와 문제의식

근대 한국 사회과학수용 주체 인물 DB 구축

근대 한국 사회과학수용관련 문헌 DB 구축

인물DB구축을 통해서 본 한국 초기 서구사회과학수용 주체의 구성과 성격.

문헌DB 구축을 통해서 본 한국 초기 사회과학의 문제의식과 특성

 

 (2) 1단계 제2차년도 연구. 근대 한국 지식인의 서구 사회과학이해와 지적 계보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과 한국 사회과학형성의 조건

근대 사회과학의 동아시아 수용과 메이지 일본 사회과학의 특질

개화파 지식인의 근대인식과 서구 사회과학의 이해

유교 지식인의 근대인식과 서구 사회과학의 이해

일본 유학 지식인의 한·일 사회 인식과 근대 사회과학수용

미국 유학 지식인의 서구 사회과학수용과 근대인식

 

 (3) 1단계 제3차년도 연구. 전환기 한국 사회의 재인식과 근대 국가전망

   ① 근대 세계체제 인식과 국가 주권론

   ② 근대 정치인식과 정치체제론

   ③ 근대적 시민의 모색과 정당정치론

   ④ 자본주의 경제체제 인식과 식산흥업론

   ⑤ 전통적 공동체 의식의 변화와 근대 민족인식의 형성

   ⑥ 근대 전환기 한국 사회과학수용의 특징과 유산 : 보편성과 특수성

 

 2) ·장기 연구 내용 및 범위:

 

상기 1단계 연구는 단계적인 장기 연구의 초석이 된다.

 

 (1) 1단계에서 구축된 인물과 문헌 데이타베이스는, 식민지시기를 대상으로 한 제2단계 연구에서, 일제의 근대학교체제 속에서  ‘사회과학연구가 제도화되는 한편으로 일제지배체제에 대응하며 대책을 모색하는 가운데 주체적 근대화의 모색이 단절되는 한편 새로운 방법론적 모색 속에서 변용, 연속되며 체계화되는 서구 사회과학수용의 궤적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확장될 것이다. 그리고 제3단계에서 해방이후 한국 사회과학의 분과별 연구자와 연구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해 내는 방식으로 완성, 구축될 것이다.

 

 (2) 1단계에서 분석된 한국 사회과학수용의 특징과 유산은, 동아시아 3국의 그것을 염두에 두고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제2단계에서  좌절된 주체적 근대화의 모색이 주권을 상실한 조건 속에서 어떻게 단절, 변용, 연속되는지 고찰해 그 특성을 구명하는 것으로 연계될 것이다이는 이른바 식민지 경험의 유산으로써, 3단계에서 동아시아와 세계사적인 경험을 염두에 두고 해방후(1945-현재) 현대 한국 사회과학 연구에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는지 성찰하여 보편과 특수의 경험 위에서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토대 위에 구체적인 방안과 모델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 사회과학이 괄목할만하게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외생성이 문제시되는 것은 문제의식에 입각한 역사적사회적 현실인식이역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연구는 종래 한말, 일제시기, 해방이후 연구와 인식이 각각 분절적으로 진행되어온 것을 극복하여 근현대 한국사회에 대한 역사사회적 문제의식과 그에 입각한 방법론 건설을 모색하고자 한다. 자주적 근대화를 모색했던 제1단계의 연구성과는, 2단계에서 그것이 어떻게 좌절, 변용되는지 살펴보고, 1, 2단계의 연구성과는 식민지 경험의 유산으로서 제3단계 연구의 토대가 된다. 그 위에 동아시아와 세계사적인 사회과학의 발전을 염두에 두면서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해방이후(1945-현재) 한국 사회과학 분과 학분별 연구의 내용과 연구자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내는 방식으로 보편성과 특수성을 구명하고, 그 위에서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 한국사회는 자주적 근대화 모색의 좌절, 국권상실, 냉전과 함께 한 해방과 분단의 경험을 배경으로 자주적 근대 국가건설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사회, 제도, 역사인식의 문제 등이 중요한 정치사회적 문제가 되었으므로, 주로 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행정학, 역사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이들 각 분과별 사회과학 연구의 내용과 자료를 수집, 정리해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내용 분석을 통해서 한국사회만의 특수한 문제와 현대사회 일반과 공유하는 일반적인 문제를 밝혀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방안과 모델을 모색해 제시하고자 한다.

 

 

  2-3. 연구방법:

 

1)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의 토대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근대학문으로써 수용된 서구 사회과학연구의 지적 계보를 실증적으로

   구명하여한국적 사회과학 이론 정립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므로 실증적인 사료와 문헌해석에 기초한

   역사사회학, 역사정치학적인 연구방식을 취한다.

2) 지식인 인식을 구명하는 과정에서 지식사회학의 연구방식을 활용한다.

3) 본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인 한국 사회과학 수용과 현대 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일반화의 논리를 구축하기

   위하여 동아시아의 사회과학수용과 서구 사회과학연구와의 비교연구를 한다.

4) 개항이후 현재에 이르는 통시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5) 실증적 사료연구와 사회과학적 논리화의 기본 틀 구축의 실질을 담보하기 위하여 인문, 사회과학 전공자 간의 학제 간 연구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