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젠다 : 네트워크사회의 지역혁신 운영방식과 혁신자본 비교연구를 통한 성공모델발굴과 실천적인 지역재생방안 제시
연구과제 : 네트워크 사회의 지역혁신 운영방식과 혁신자본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의 지역 DSI 사례를 중심으로
- 키워드 : 디지털사회혁신, 소셜벤처, 소셜테크, 지역재생, 혁신자본
- 연구목적
- 연구내용
- 향후 연구 방향
- 연구팀 성과 (대표 업적 및 주요 활동)
<소형 1차 년도(2019년 3월 기준)> 김용복. 2108. “지방자치, 지방분권 그리고 균형발전: 헌법 개정의 쟁점과 과제”(한국정치학회 지음. 2018.『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정치학자들의 관찰』. 서울: 푸른길: 제7장) 조희정. 2019.“시민기술의 다중운동.”(장우영 외. 2019.『촛불집회와 다중운동』. 파주: 한국학술정보: 263-285). 그 외 다수 논문과 학술대회 참여 [지역혁신자본 평가를 위한 지표] 구성중
- 연구진 현황
참여형태 구분 | 참여자 성명 | 연 구 역 할 분 담 내 용 | 연구책임자 | 류석진 | 관련 이론 분석 및 개념 구성, 연구총괄, 연구과정 조정, 연구계획 및 결과 책임, 전체 프로젝트 관리, 연구진 네트워크 구성, 연구논문 작성 | 공동 연구원 | 일반공동 연구원 | 김용복 | 관련 이론 분석 및 개념 구성, 일본 지역혁신 사례연구(문헌연구, 전문가 심층인터뷰), 연구논문 작성 | 정재환 | 관련 이론 분석 및 개념 구성, 영국과 제주도 지역혁신 사례연구(문헌연구, 전문가 심층인터뷰, 혁신 활동가 의식조사), 연구논문 작성 | 전임 연구인력 | 조희정 | 관련 이론 분석 및 개념 구성, 강원도 지역혁신 사례연구(문헌연구, 전문가 심층인터뷰, 혁신 활동가 의식조사), 2차 자료를 통한 국외(유럽 등) 사례 취합, 연구논문 작성 |
- 연구네트워킹 전략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와 MOU완료(2019년 1월)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울혁신파크, 서울디지털재단과 연구협력 소셜벤처 활동가, 청년창업자, 정책실무자, 국내외 전문연구자 등과 협력체계 구성
- 연구단 주요 링크
2019년 말 웹사이트 구축 계획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