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젠다 :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 생활세계와 기억의 재현
연구과제 :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기억의 재구성
- 키워드 : 로컬리티, 사회변동, 사회통합, 산업변동, 아카이빙
- 연구목적
본 연구단은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생활세계와 기억의 재현’이라는 아젠다 하에 지역사회 ‘로컬리티의 재구성’이라는 연구비전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형 단계에서는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기억의 재구성’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중이다. 이론과 방법론 연구, 산업화와 로컬리티 연구, 노동과 산업공간 연구, 공동체와 생활세계 연구, 로컬리티의 형성과 재구성 연구 등 5개 세부 과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적 이론화’와 ‘아카이브 모델 구축’을 연구목표로 설정하고 과제를 진행중이다 중형 연구단을 계획하면서 수립한 3차년도의 연구목표는 ‘로컬리티 재구성을 위한 이론화 및 아카이브 모델 구축’이다. 이 목표는 중형단계 연구과정을 거치면서 새롭게 구체화되었다. 우선 ‘로컬리티 재구성의 이론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로컬리티 재구성을 지향하는 이론적 모델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단은 로컬리티 연구를 다음과 같은 세 영역으로 설정하고, 역량을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중앙과 지역 간의 불균등 발전과 생활세계의 민주주의 실현방안에 대한 연구
- 산업단지와 지역의 사회변동과 갈등의 구조, 그리고 사회통합방안 연구
- 지역정체성의 대안적 재구성을 위한 조건과 대안 모색
다음으로 로컬리티 재구성을 위한 ‘아카이브 모델 구축’은 지역조사연구와 아카이빙 작업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역시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로컬의 자발적 참여와 자생력을 키우기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모델의 실험.
- 로컬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기 위한 ‘소통형’ 아카이브 구축
- 과거와 현재를 딛고 미래로 상생 발전하기 위한 대안적 비전의 형성 바탕이 될 ‘생성적’ 공동체 아카이브 실험
- 연구내용
한국의 국가주도 산업화는 각 지역을 발전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급 격한 산업변동은 지역공간과 주민들에 대한 고려 없이 경제적 요인이 중심이 되어 폭력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지역 고유의 정체성은 점점 약화되었고, 구심력이 사라지면서 주민들의 소속감과 결속력이 떨어졌다. 지역의 청년 인재들은 끝없이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인구는 줄어드는 ‘고령화’와 ‘공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지역발전의 기반이 무너지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인들이 떠난 공간에 외국인들이 ‘새로운 시민’이 되어 자리를 메우며 ‘다문화 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는 시민사회의 또 다른 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경제발전은 지역 간의 불균형을 심화시키면서 지역갈등의 한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산업정책과 지역정책들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세계화 시대에 국가자율성과 능력의 구조적 한계가 작동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미시적으로는 지역의 내재적 성장(inclusive growth)을 위한 인프라, 다른 표현으로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취약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과학이 한국의 시민사회, 특히 지방/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사회문화적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산업변동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기억과 기록, 공간과 장소, 역사와 집단기억, 생활세계와 재현, ‘다문화’와 젠더 등의 측면에 천착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로컬리티 연구는 최근에서야 진행되기 시작한 신생 연구 분야이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이론 탐구나 실증 연구의 경우 외국에서도 아직 시작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로컬리티 연구와 기록화가 일정 규모 이상의 실증이 필요한 장기적 연구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자연스럽게 로컬리티 ‘주체’의 형성을 포함한다. 우리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로컬리티 기록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이론 개발과 구체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한 적용과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다시 방법론으로 환류 시킬 필요가 있다. 장기 간의 조사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기 과제의 설정은 필수적이다.
- 향후 연구 방향
‘로컬리티’의 문제의식은 ‘중앙집중적 발전체제’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극복하려는 것이다. 지역사회의 강화는 국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도움과 협력 없이는 쉽게 이룩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지역사회과 활성화되고 고유의 로컬리티를 강화해 나가야만 전체 사회의 장기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단은 지역사회 연구조사 및 로컬리티 아카이브의 구축과정을 ‘민-관’ 협력과 ‘거버넌스’를 통해서 실현해 나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활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단의 중점연구내용은 첫째로 산업변동을 ‘지역’과 ‘로컬리티’ 차원에서 다학문적인 방법으로 입체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다. 또한 ‘산업지역’이나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도시 및 지역 간의 적절성 있는 비교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기초를 닦는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중앙 행정부처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며, 지역시민사회와의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매개자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본 연구팀이 설정한 다섯 개의 세부연구과제는 서로 연계 되고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한 공동연구원이 여러 세부과제에 함께 참여하면서 연구진 사이의 협력과 공동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 연구팀 성과 (대표 업적 및 주요 활동)
2015년 6월 현재, 2년간 당초 계획했던 연구목표를 초과달성하였으며, 로컬리티와 로컬리티 아카이브 연구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실적을 산출하였다. ‘로컬리티 기록화와 산업공간 분석틀의 결합 모색’을 목표로 진행된 중형 1년차 연구에서는 이론과 방법론 연구(Task 1), 산업화와 로컬리티 연구(Task 2)를 집중도 있게 진행 하였으며, 당초 3년차에 연구 성과를 집중 산출할 계획인 로컬리티 형성과 재구성 연구(Task 5) 중 아카이브 틀 설계 연구 진행을 통해 산출된 성과 일부도 논문으로 집필 및 게재되었다. 2년차는 본격적으로 ‘공간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기억의 발견’을 달성하기 위해 계획된 노동과 산업공간 연구(Task 3)와 공동체와 생활세계 연구(Task 4)를 진행하여, 애초의 성과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특히 지역 및 로컬리티 연구 성과를 집약해 3권의 저서를 출판한 바 있으며, 이는 본 연구단의 연구 성과를 폭넓게 확산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와 함께 로컬리티 형성과 재구성 연구(Task 5) 성과 일부도 SSCI 논문 2편과 연구재단 등재지 논문 3편으로 산출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단은 중형 연구계획에 맞추어 속도감 있으면서도 기존 연구 계획을 확장해나가며 체계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학술적 측면에서도 지역 단위에서 진행되고 있는 노동, 산업공간, 공동체, 생활세계 연구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으며, 연구단의 성과를 통해 로컬리티 기록화 및 로컬리티 아카이브 구축 분야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1) 연구책임자의 논문 및 저서실적 연구책임자는 연구 계획에 따라 이론과 방법론 연구(Task 1)를 충실히 진행하고 있으며, 산업화와 로컬리티 연구(Task 2), 노동과 산업공간 연구(Task 3), 공동체와 생활세 계 연구(Task 4) 영역에서도 단독 및 공동 연구를 진행하여 340%의 성과를 산출하였다. 연구단 전체 연구 영역을 포괄하여, 3년차에 지역 연구를 집약하는 이론 및 방법 론 연구를 체계적으로 준비 중이다. 2) 공동연구원의 논문 및 저서실적 연구단의 공동연구원(전임연구원 포함)은 다섯 개 세부연구과제를 연구계획에 맞추어 진행하여, 1인당 2년간 평균 200% 이상의 연구 성과를 달성하였다. 연구 성과는 사회학, 경영학, 기록학 등 연구단의 연구 주제 분야의 우수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동아시아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및 생활세계, 지역사회운동과 로컬리티, 개항장 로컬리티의 문화정치학 등의 연구 성과를 담은 단행본 4권을 출간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지역 및 로컬리티 연구의 경우 실제 지역사회를 현장에서 연구하고 그 과정에서 이론과 실천적 방안을 이끌어내야 하는 이유로 3년차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로 부터 다수의 우수 연구실적을 산출할 것이다. 3) 중형 연구단의 연구성과 논문제목 | 학술지명 | 발행처 | 게재년월 | 노동아카이브의 형성과 발전방향 모색 | 기록학연구 | 한국기록학회 | 2014.07. |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 기록학연구 | 한국기록학회 | 2014.10. | 아래로부터의 역사’ 서술과 기록의 상호관계 : 영국의 역사워크숍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 | 2014.09. | 통합형 지방교육기록물관리기관 설립방안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 2015.06. | 일본 가나가와현 아이카와마치의 다문화 공생과 로컬리티 | 아세아연구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 2015.06. | 재일동포 인권운동과 다문화 공생의 실현- 카와사키 사쿠라모토 지역의 후레아이칸을 중심으로 | 민주사회와 정책 연구 | 민주사회 정책연구원 | 2015.06. |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한국기록관리학회 | 2014.08. | 반월공업단지 뿌리산업에 관한 사례 연구 | 대한경역학회지 | 대한경영학회 | 2015.06. | 1980년대 구로지역 민중교회와 노동운동- 민중교회의 형성과정과 역할에 관한 고찰 | 산업노동연구 | 한국산업노동학회 | 2015.02. | The Korean Ecumenical Movement and Minjung Churches with Focus on the Guro Industrial Area in the 1980s | Mada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in East Asia |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원 | 2015.06. | 1950년대 고용조정의 법규범과 현실: 조선방직과 대한조선공사 사례 | 지역사회학 | 지역사회학회 | 2014.12. | 핵심-일시 구조를 통해 본 중소사업체의 고용관리 체제 : 안산, 시흥스마트 허브지역 내 제조사업체를 중심으로 | 산업노동연구 | 한국산업노동학회 | 2015.06. | 지역사회운동과 로컬리티 | 지역사회운동과 로컬리티 | DETO출판사 | 2014.06. | 동아시아의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 동아시아의 산업변동과 로컬리티 | 한국학술정보 | 2015.06. | 동아시아의 산업변동과 생활세계 | 동아시아의 산업변동과 생활세계 | 한국학술정보 | 2015.06. | 밀양765kV 송전탑 건설 반대운동에 대한 젠더 분석 | 한국여성학 | 한국여성학회 | 2015.06. |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 참여의 맥락 | 기록학연구 | 한국기록학회 | 2015.04. |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건을 사례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한국기록관리학회 | 2014.11. | 지역 기록을 활용한 로컬리티 형성과 재구성 : 일본 지바현 다테야마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 2015.06. | 개항장 로컬리티의 문화정치학 | 개항장 로컬리티의 문화정치학 | DETO출판사 | 2015.06. | User needs of cultural portals: A study of model invariance within the Korean population | Information Development | SAGE Publication | 2015.01. | Motivating continued knowledge sharing in crowdsourcing: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visual feedback | Online Information Review | Emerald Group Publishing | Accepted | 로컬리티 아카이브로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 | 기록학연구 | 한국기록학회 | 2014.07. |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실행 방안 : 부산 영도 지역 조선(造船) 노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 기록학연구 | 한국기록학회 | 2014.10. | FRBRoo/CIDOC CRM 기반의 로컬리티 정보자원 구조화 연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 | 2014.12. | CIDOC-CRM을 이용한 지역기록의 공간 기반 구조화 : 부산항을 사례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한국기록관리학회 | 2015.05. |
- 연구단 주요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