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젠다 : 네트워크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연구과제 : 네트워크 시대의 다중극화와 불평등: 공존과 사회통합을 위한 문제 해결의 사회과학 (Multi-layered Divides and Inequalities in a Networked Society: Problem-Solving Social Science for Coexistence and Integrity)
- 키워드 : 극화와 쏠림, 디지털 격차, 디지털 사회과학, 빅데이터, 사회연결망분석, 소셜미디어, 온라인 공동체, 온라인 공론장
- 연구목적
“다중극화와 불평등” 연구단은 네트워크 사회와 뉴미디어의 정체성과 구조를 밝히고, 뉴미디어가 만들어 내는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다중극화와 쏠림현상을 분석하며,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이 사회정치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과 민주주의를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론적이고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 연구내용
“다중극화와 불평등” 연구단은 소형3년, 중형 3년, 대형 1년간 뉴미디어 매체별 특성, 미디어 이용자의 행태분석, 네트워크 행위자 분석, 빅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주제 연결망 분석, 모바일 공동체 연구 등 온라인 소통의 정체성과 온오프상의 극화와 쏠림현상을 연구하여 왔습니다. 현재, 온라인 소통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요소(극화와 쏠림, 그리고 불평등)의 원인과 구조를 분석하고, 견제와 균형을 통해 사회통합과 민주주의를 진전시키는 이론적 토대와 정책 방안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단은 ①디지털시대에 진입후에 나타나는 사회문제와 인과관계를 진단하고, ②데이터에 기반한 사회과학을 지향하여 세 가지 영역에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결합하며, ③데이터에 기반한 이론화와 정책적 해결 방안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그림 > 연구센터 세 가지 목표
- 향후 연구 방향
우리 연구단은 디지털 사회과학이 데이터 기반 연구와 융합연구의 두 가지 동력으로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사회과학은 인간의 모든 행위가 온라인 흔적(footprint)로 기록되므로, 인간의 흔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회현상에 대한 과학적 진단과 예측을 추구합니다. 데이터 기반 연구를 위해서 사회과학 내부의 분과학문 간 실질적 협업 강화와 사회과학을 넘어 자연과학 및 공학과의 융합을 통한 데이터 결합과 방법론적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융합연구는 학제간 연구는 물론 민관학 심포지엄 및 데이터 박람회를 통해 학계, 산업계, 정책 실무자 간 융합을 추구합니다.
- 연구팀 성과 (대표 업적 및 주요 활동)
1) 『빅데이터로 보는 한국정치 트랜드』 (한울아카데미) :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 그리고 연구보조원이 공저로 발간하여 2017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로 선정되었고, 일본의 학쿠도쇼보 출판사의 새로운 시리즈 「아시아발 비저너리 시리즈(アジア発ビジョナリーシリーズ, Visionaries from ASIA)」 제1권으로 출간되어, 한국의 독자 뿐 아니라 일본의 정치 및 여론현상을 이해하는 참고도서로 활용되며, 2017년 교육부 연구성과 50선에 선정되어 교육부총리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 대형 1년차에 네트워크 사회의 동류선호(homophily)와 다중극화로 인한 불평등의 내적 구조를 분석하고, 온라인 소통과 오프라인의 관계가 다중극화로 이어지는 온-오프 상호관계를 연구하였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의 선거운동을 트위터와 전통적 미디어를 결합한 “혼종 미디어 선거운동(hybrid media campaign)으로 개념정의하고 분석한 연구(Wells et al. 2016), 젊은 층이 유튜브를 통해 외국 드라마를 소비할 때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한 연구(Park et al. 2017), 외국인 유학생의 친구 연결망 분석에서 중국 유학생들의 연결망과 다른 국가 유학생의 연결망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박근영 외 2016), 문화예술계의 내부 연결망을 대상으로 하여 전위예술가 그룹인 플럭서스(Fluxus)의 다원적 연결망을 분석한 연구(Lee et al. 2017), 2015년 국제 쇼팽 피아노 경연대회의 심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심사의 편파판정이 전체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Jeon and Park 2017) 등 성과를 내었습니다.
3) 연구 방법의 창의성과 다양성 : 서베이 패널조사, 데이터 마이닝과 시멘틱 분석 등의 빅데이터 분석,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리모형 등의 방법을 다양한 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적용하였습니다 4) 연구 결과 확산 : 우수 인재양성과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신진 연구인력에 대한 방법론 워크숍과 참여대학원생과 연구자들과의 논문공저를 하였고. 산학연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데이터 마이닝 기업, 언론인, 사회조사 기업 책임자를 초청하여 데이터 사이언스 포럼을 개최하고, 빅데이터 분석 기법에 관한 워크숍을 여름/겨울 방학에 개설하여 방법론적 혁신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 그림 3> 겨울방학중 빅데이터 방법론 워크숍 개최
- 연구진 현황
“쏠림과 불평등” 연구단은 세 가지 세부 연구 주제에 따라 연구진을 조직하였습니다. “쏠림과 불평등” 세부 연구팀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정체성과 메커니즘 연구를 합니다. “여론과 정치” 세부 연구팀은 온라인 쏠림현상이 오프라인 여론형성과 정치참여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균형과 견제” 세부 연구팀은 쏠림과 불평등의 메커니즘을 순화시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방안을 연구합니다. 세부 연구주제별 연구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네트워킹 전략
1) 네트워크 사회에 대한 융합이론화를 위해 학제적 협력연구 추진 2) 여름/겨울 방학기간 데이터 분석 워크숍 및 다양한 데이터 포럼 등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등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법 및 온라인 실험 등의 방법론적 혁신 교율 및 전파 3) 연세대, 서울대, KAIST와 미국 Cornell University, University of Wisconsin, 일본 게이오 대학교 등의 연구센터를 매개로 협업 연구 추진.
- 연구단 주요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