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30
시작년도 ~ 종료년도 | 2012 ~ 2015 | 작성자 | 관리자 |
---|---|---|---|
첨부파일 | |||
⧠ 연구목적 및 배경 2009년 11월에 공표된 교육과학기술부의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에 따라 유치원 현장에 로봇기반교육(Robot-based learning, 이하 R-러닝이라 약칭)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 유아교육은 종전의 교육학이라는 영역에만 머물러있던 단학문적 성격을 탈피하여 유아교육학, 로봇공학, 정보통신공학, 소프트웨어공학 등 학제 간 융합과 통섭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음 R-러닝을 위해 개발된 교육용로봇플랫폼과 각각의 로봇플랫폼에 탑재된 유아교육 콘텐츠는 그 자체만으로도 상기의 유아교육학 등의 학제 간 융합의 성과로 볼 수 있으나, 중장기적인 측면에서는 로봇 개발, 교육프로그램의 로봇에의 탑재, ICT를 활용한 원거리 이용 서비스 등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현장 실천적인 측면에서 융합이 이루어져야하며, 나아가 실질적인 학제 간 통섭을 이룸으로써 본연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음 최근까지 이루어져온 R-러닝 관련 연구들(한국과학기술연구원 로봇기반교육지원단, 2013; 김상윤, 이민정, 안경숙, 김정희, 차영숙, 2012; Eapinosa, Laffey, Whittaker, & Sheng, 2006; Kanda, Hirano, Eaton & Ishiguro, 2004)은 로봇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R-러닝의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고 있으며, 유아가 로봇을 기계나 도구적 수단이 아니라 친구나 동료와 같은 인격체로 인식하는 경향성을 보여줌으로써(정지현, 박선미, 2010; 현은자, 윤현민, 강정미, 2010) 상호작용 교수매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 또한, 현재 전국 국공립사립유치원 약 20%에 R-러닝 시스템이 보급되어 (2013, KIST 로봇기반교육지원단) R-러닝시스템의 유치원 현장에의 통합이 단계별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R-러닝이 유치원 일과에 적절하게 통합되어 융합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선행 연구결과를 토대로 R-러닝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이정욱, 이민정, 안경숙, 임수진, 2010)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이 적정히 구현 또는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체제) 지원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함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제 간 융합 실천 모델로서의 R-러닝 기관평가 인증체제 모형 개발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유아교육기관에 R-러닝을 구현․활용하기 위한 최적의의 시스템(체제) 및 여러 관련 요소들을 체계화하는 과정을 수행하고자 함 이를 위해 1차년도 연구에서는 R-러닝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내 지원체제 특성․요인 분석을 위해 인적물적제도적 부분의 현장 현황에 대한 기초 조사연구를 실행하였음 차년도 연구에서는 R-러닝 시스템의 적정 구현을 위한 유치원내 시스템(체제) 구축 지원 방향 구체화을 위해 인적 시스템 부분에서는 교사(R-러닝 리터러시 역량 제고)와 유아(R-러닝 수용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물적 시스템 부분에서는 유치원(전국 표본 추출)의 ICT 환경에 대한 조사 및 편차 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마지막으로 이러한 첨단 교수매체가 유아교육에 수용되는 데 있어 법제도의 준비 현황 등의 제도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실행하고자 함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 지속가능한 학제 간 융합과 통섭의 실천 모델로서의 R-러닝의 질적 제고와 발전을 위한 근간을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을 둠 |